반응형
안녕하세요!
중소기업 재직자의 자산 형성과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최고의 제도, 내일채움공제에 대해 안내드립니다.
2025년 초부터 3년 만기형 상품이 신규 출시되었다는 걸 알고 계셨나요? 내일채움공제가 더욱 유연한 가입 조건과 혜택으로 돌아왔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내일채움공제의 개요부터, 3년형의 특징, 신청방법까지 상세히 안내해 드릴게요.
목차 바로가기
반응형
내일채움공제란?
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핵심 인재의 장기재직과 재직 중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입니다.
기업과 재직자가 공동으로 공제금을 적립하며, 일정 기간(3년 또는 5년) 재직 시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까지의 만기금을 수령할 수 있는 장기 근속형 복지제도입니다.
2025년 내일채움공제 3년형 상품 소개
기존 5년 만기 상품과 더불어, 3년형 상품이 새롭게 출시되었습니다.
구분 | 기존 5년형 | 신규 3년형 |
가입기간 | 5년 | 3년 |
적립방식 | 기업+근로자 | 동일 |
총 수령액 | 최대 3,000만원 이상 | 최대 1,800만원 내외 |
가입유형 | 재직 1년 미만 | 동일 |
3년형은 단기 재직자를 위한 맞춤 설계로, 핵심 인력의 중간 이탈을 줄이고 유연한 운영이 가능합니다.
가입대상 및 조건
- 중소·중견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 근로자
- 재직 기간: 1년 미만
- 만 15세 이상 ~ 34세 이하 (병역이행자는 최대 만 39세까지 가능)
- 월 급여 350만 원 이하
- 고용보험 가입 필수
기업 요건
- 중소기업 기본법상 중소·중견기업
- 고용보험 적용 사업장
- 체불 사업장 및 부도 기업 제외
가입 방법 및 절차
- 기업 회원가입 (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‘내일채움공제’ 홈페이지)
- 근로자 신청 (개별 회원가입)
- 근로자-기업 간 약정 체결
- 중진공 심사 후 최종 가입 승인
- 매월 적립금 납입
참고: 기업은 매월 일부 금액을 부담하고, 정부가 일정 부분을 지원합니다.
혜택 및 만기 수령액 예시
3년간 근속 시 예상 수령액 예시(최소 납입금 34만 원 기준)
구 분 | 신 규 | 기 존 | |
가입기간 | 3년~10년 (1년 단위 선택) |
5년~10년 (1년 단위 선택) |
|
월 납입금 | 34만원 | 동일 | |
재직자 납입금 | 10만원 | 동일 | |
기업 지원금 | 24만원 | 동일 | |
적립금 | 1,224만원 (34만원*36개월) |
2,040만원 (34만원*60개월) |
|
재직자 납입금 | 360만원 (10만원*36개월) |
600만원 (10만원*60개월) |
|
기업 지원금 | 864만원 (24만원*36개월) |
1,440만원 (24만원*60개월) |
|
만기 환급금(세전, 변동가능) | 1,277만원 | 2,190만원 |
가입자는 만기 시 일시금으로 수령할 수 있으며, 비과세 혜택도 적용됩니다.
마무리 및 참고사항
이번에 출시된 내일채움공제 3년형은 청년 근로자와 기업 모두에게 유연한 대안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
이직률을 줄이고, 핵심인력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내일채움공제를 지금 바로 신청해 보세요!
자세한 내용 및 신청
반응형
'정책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소상공인 고용보험료 지원사업 총정리! (1) | 2025.07.24 |
---|---|
단통법 폐지, 2025년 7월 22일부터 전면 시행! 소비자 혜택은? (8) | 2025.07.23 |
2025년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안내 (3) | 2025.07.20 |
2025년 소상공인 배달·택배비 지원사업 안내 (4) | 2025.07.17 |
받을 수 있는 복지, 맞춤형급여안내 '복지멤버십'으로 자동 확인! (8) | 2025.07.16 |